[1. 개념화·조작화의 개념]
사회복지조사 과정에서 개념화와 조작화는 조사도구를 개발하는 두 중요한 단계를 나타냅니다. 이 두 과정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개념화가 조작화를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래에서 각 단계의 관계를 설명하겠습니다.
1. 개념화 (Conceptualization)
개념화는 조사 대상인 추상적인 개념이나 아이디어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정의하는 과정입니다. 연구자는 조사하고자 하는 개념에 대해 철저히 이해하고 명확한 정의를 수립합니다. 개념화의 주요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 문제 정의: 연구자는 조사의 목적을 정의하고 연구하고자 하는 문제나 개념을 명확히 이해합니다.
- 개념 정의: 조사 대상인 개념을 정의하고 세분화하여 특징을 명확히 합니다. 이는 추상적인 개념을 측정 가능하고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 변수화: 개념을 측정하는 데 필요한 변수들을 식별하고 이를 명확하게 정의합니다. 이 변수들은 나중에 조작화 단계에서 실제로 측정될 것입니다.
2. 조작화 (Operationalization)
조작화는 개념화된 개념을 실제로 측정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개념화된 개념을 조사 도구로 구체화하여 실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주요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 변수 선택 및 정의: 개념화에서 도출된 변수들을 실제로 조사에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선택하고 정의합니다.
- 척도 개발: 선택된 변수들을 어떤 방식으로 측정할지에 대한 척도를 개발합니다. 예를 들어, 리커트 척도, 객관적 척도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도구 개발: 구체적인 조사 도구를 개발합니다. 이는 설문지, 인터뷰 가이드, 관찰 지표 등이 될 수 있습니다.
- 신뢰도 및 타당도 평가: 개발된 조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여 도구의 품질을 확인하고 조사 결과의 신뢰성을 높입니다.
[2. 개념화·조작화의 관계]
- 상호 의존성: 개념화와 조작화는 상호 의존적인 과정입니다. 개념화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조작화도 효과적으로 이끌어내기 어렵습니다. 개념화 단계에서 명확한 개념 정의와 변수화가 이루어져야만 조작화에서 실제로 측정이 가능한 도구가 개발될 수 있습니다.
- 반복적 과정: 두 단계는 한 번에 끝나는 선형적인 과정이 아닙니다. 연구자는 연구 과정 중에 계속해서 개념화와 조작화를 반복하면서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최적의 조사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결국, 개념화는 추상적인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이해하는 과정이며, 조작화는 이러한 개념을 실제로 측정 가능한 형태로 구체화하여 연구에 활용하는 과정입니다.
[3. 개념화·조작화의 사례 적용]
1. 개념화 (Conceptualization)
*연구 주제: 노인의 사회적 고립
- 문제 정의: 연구자는 노인의 사회적 고립이 사회복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문제 정의 단계에서는 "사회적 고립"이란 무엇인지, 어떤 측면을 고려해야 하는지 등을 결정합니다.
- 개념 정의: "사회적 고립"은 노인이 가족, 친구, 이웃과의 소통이 부족하거나 외로움을 느끼는 상태로 정의됩니다. 이는 심리적, 감정적, 물리적으로 사회적 관계의 결여를 의미합니다.
- 변수화: 연구자는 노인의 사회적 고립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변수를 고려합니다. 예를 들어, 사회적 활동 빈도, 가족과의 교류 정도, 지역사회 참여 정도 등이 가능한 변수들입니다.
2. 조작화 (Operationalization)
*측정 도구 개발: "사회적 고립"을 조작화하여 측정 가능한 도구를 개발합니다.
- 변수 선택 및 정의: 연구자는 변수 중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측면을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사회적 활동 빈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척도 개발: "사회적 활동 빈도"를 측정하는 데에는 리커트 척도를 활용합니다. 연구자는 일주일에 몇 번 외부 활동에 참여하는지를 1부터 5까지의 점수로 표현하도록 설계합니다.
- 도구 개발: 구체적인 도구로는 설문지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주일에 몇 번 외부에서 활동하시나요?"와 같은 질문이 포함된 설문지를 작성합니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통해 개념화된 "사회적 고립"이 조작화되어 실제로 측정 가능한 도구로 발전합니다. 이 도구를 사용하여 노인들의 사회적 고립을 조사하면, 연구자는 구체적이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사회복지법제와실천] 고령사회에서 국민연금제도가 가지는 한계점 분석/ 노령연금의 대안으로서 양질의 노후 생활을 위한 공적 · 사적 노인 복지 제도 제안 (0) | 2023.11.30 |
---|---|
[사회복지][노인복지론] 노년기의 정신건강 문제 및 대응방안/ 성공적 노화를 위한 개인의 노력 방안 (0) | 2023.11.30 |
[사회복지] [사회학개론] [정신분석학]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 찬반 토론 의견/ 이론의 한계점 분석 (0) | 2023.11.18 |
[사회복지][대인관계의 심리학]스턴버그의 사랑의 삼각형 이론/사랑의 3요소/ 사랑의 유형 진단 척도 (0) | 2023.10.01 |
[사회복지][아동발달] 아동기의 탐색적 활동에 대한 교육 환경 및 부모와 교사로서의 역할 (0) | 2023.09.30 |